유머ㆍ이슈					분류
				
						바다 철가루 실험을 진행하지 않는 이유
작성자 정보
- 푸하하 작성
 - 작성일
 
컨텐츠 정보
- 1,402 조회
 - 0 추천
 - 0 비추천
 - 목록
 
본문


바다에 철가루를 뿌려서 탄소를 심해로 가라앉혀 기온을 낮추는 이론은 1988년에 처음으로 등장함
  
그 후 과학자들은 대략 30년동안 13차례의 실험을 해봤는데
  이론과 달리 탄소 흡수효과가 극적이지 않았음
  끽해야 이론수치의 100분의 1정도
  또한 특정 종류의 식물성 플랑크톤만 늘어나는 결과가 되어 바다 생태계가 큰 혼란이 있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옴
  육지로 비유하면 갈대만 먹고 사는 곤충이 살고있는 지역에 갑자기 갈대가 다 죽어버리고 고사리밭이 되어버리는 꼴
  
더 중요한것은 철가루를 뿌렸더니
  도모이산이라는 신경독을 함유한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됨
  즉 전지구적으로 바다에 철가루를뿌리면 물고기 조개 해산물 전체가 도모이산에 중독될 수 있는 결과가 나올수도 있음
  = 지구 바다 생물 전체가 신경독 해산물로 변신함 ㅋㅋ
  
결국 바다 철가루이론은 지금은 최후의 최후의 보루로 남겨두고있는 반쯤 폐기된 이론이 되어버림
  관련자료
			댓글 0
					
			
				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			
					
							





